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드라마 & 시나리오 작가 공부24

ok 영화 대사 & 서브텍스트 & 영화 스타일 만들기 & 관객|영화 시나리오 쓰기(쓰는 법) 4 ※ [영화 시나리오 쓰는 법] 시리즈의 마지막 편으로, 이번에는 영화 대사와 서브텍스트, 영화 스타일과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참고로 이 시나리오 작법 시리즈는 일본 원서를 제 나름대로 번역정리한 것입니다. 번역상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영화 대사강한 대사◇ 훌륭한 대사는 언어는 노래하고 서로 울려퍼진다. 관객을 놀라게 하거나 흥분시키고 인간의 행동을 날카롭게 분석하기도 한다. 대사를 사랑한다는 것은, 언어가 가진 힘과 기분 좋은 소리-언어가 가지는 의미와 리듬-를 사랑하는 것이며, 적확한 언어를 선택해 올바른 음보를 찾아내는 것이다. 훌륭한 대사는 언어와 영상이 하나가 되어 스토리와 등장인물, 테마에 대해 깊은 정보를 전해준다.  ◇ 대사는 .. 2025. 2. 2.
ok [영화 시나리오 쓰는 법(쓰기) 3] 영화 영상과 등장인물 묘사 ※ [영화 시나리오 쓰는 법(쓰기)] 시리즈 제3탄으로, 이번에는 영화 영상과 등장인물 묘사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참고로 이 시나리오 작법 시리즈는 일본 원서를 제 나름대로 번역정리한 것입니다. 번역상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영상◇ 뛰어난 작가는 시각으로 생각한다. ◇ 영상을 생각할 때 작가가 제일 먼저 해야 할 것은 진짜 같은 세계를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영화 처럼 검투사가 싸우는 콜로세움 세계도 있고 영화 처럼 정치적 음모가 소용돌이치는 엘리자베스의 아침 세계도 있다.  영화 처럼 연극의 세계도 있다... 시나리오에서 묘사하는 영상은 구체적이어야 한다. ◇ 세부묘사는 신빙성이 없으면 안 된다... 일부분이라도 영상이 현실과 다르면 관객은 영화 전체를 믿을 수 없.. 2024. 12. 24.
ok [영화 시나리오 쓰기(쓰는 법) 2] 스토리 전환(터닝포인트), 반전, 테마 ※ 지난번에 이어 영화 시나리오 쓰기 2탄으로, 이번에는 스토리 전환(터닝포인트), 반전, 테마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참고로 이 시나리오 작법 시리즈는 일본 원서를 제 나름대로 번역정리한 것입니다. 번역상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스토리의 전환(터닝포인트)◇ 훌륭한 대본에는 스토리의 전환이 있다. 「전환」이란 스토리를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 변화를 주는 계기다. 거기서 새로운 전개가 시작되고 스토리의 초점이 바뀐다. 뛰어난 3막 구성 대본에는 적어도 2개의 터닝포인트가 있다. 제1 터닝포인트는 스토리를 제1막에서 제2막까지 전환시켜 주고, 제2 터닝포인트는 제2막에서 제3막으로 전환시킨다. 전환수는 적으면 적을수록등장인물의 관계와 갈등을 파고들 여유가 나온다. 터닝포인트.. 2024. 9. 21.
ok [영화 시나리오 쓰기 1] 스토리, 구성, 씬(scene:장면), 시퀀스, 플래시백, 몽타주 ※ 영화 시나리오 쓰기(스토리와 씬(장면)의 종류, 시퀀스, 플래시백, 몽타주, 등장인물, 드라마의 구성, 영화적 시간 사용법 등)에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소개할까 합니다. 참고로 이 시나리오 작법 시리즈는 일본 원서를 제 나름대로 번역정리한 것입니다. 번역상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좋은 드라마의 기준● 열정은 있는가. 등장인물에게는 정의를 구하는 뜨거운 열정이 있는가, 악을 바로잡거나, 진정한 사랑을 원하는 열정은 있는가. ●  등장인물은 흥미를 이끄는 인물인가. ●  등장인물은 결단을 내리고 그 결과에 맞서고 있는가. 뭔가를 하지않으면 안 될 때,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그것을 행하려고 하는가. ●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은 갈등은 있는가. 가로막고 있는 저항세력.. 2024. 7.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