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드라마 & 시나리오 작가 공부24

ok 미스터리물 쓰는 법 ② I 미스터리 작법_체크포인트(등장인물, 상황 설정, 플롯) 상황설정 / 플롯▶ 구성이 뛰어난 소설을 쓰는 최선의 방법은 먼저 구성을 생각하는 것이다. ▶ 쓰기 전에 계획하고 결말을 알고서 중심부의 플롯을 만들어라. ▶ 계획을 세워 쓰기 시작하면 자신이 나아갈 방향이 머릿속에 확연히 잡혀 극적 대립을 생각대로 전개할 수 있다. ▶ 좋은 구성을 만들려면 주인공을 문제에 직면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빨리 순조롭게 문제를 해결시키고 싶다는 유혹을 뿌리쳐야 한다. 극적 대립이 깊어지는 것이야말로 양질의 픽션(특히 미스터리)에 불가결한 요소이다. 따라서 주인공이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 문제를 점점 심각하게 만들어야 한다. ▶ 극적 대립을 충분히 전개하고 긴장과 흥분을 서서히 높이기위해서는 한발 한발 나아가면 된다. 지금 안고 있는 문제 이외엔 모두 머리에서 떨쳐버리고 하나씩 .. 2024. 7. 17.
ok 미스터리물 쓰는 법 ① I 미스터리 쓰기 법칙, 종류, 체크포인트, 스토리 구성법 미스터리의 종류① 수수께끼 풀기형: 고전적인 본격파 탐정소설.철저한 페어플레이로 탐정과 독자의 두뇌싸움이 전개된다. ② 하드보일드형: 대개 후더닛(스릴러물-Who done it? (범인은 누구?))요소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가끔은 수수께끼형이기도 함.무엇보다도 모험소설로 사립탐정 등이돋보이는 슈퍼히어로로서 거친 격투를 벌인다. ③ 순문학형 :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서로의 관계성을 파헤치는 순문학으로 우연히 범죄(주로 살인)를 테마로 한 것. ④ 추적형 : 스파이물이 많지만 일상생활이 무대가 되는 경우도 있다. 와 가 아니라 , 가 흥미의 중심이 된다. 추적형 미스터리의 종류스파이: 비밀스파이가 냉전의 긴장상태를 배경으로 적국의 스파이 또는 자신의 상사와 싸운다.도주: 주인공이 갑자기 국제적인 사건에 휘말린다.. 2024. 6. 27.
ok 콩트 쓰는 법_쓰기 훈련 / 대사 / 대화의 기본 *콩트쓰는 법(쓰기 훈련 / 대사 / 대화의 기본)에 대해 알아보자.드라마 작법 관련 글은 아니지만 대본작업에 참고해도 좋을 내용이라 올려본다.   콩트란 단편소설보다도 더 짧은 소설을 의미하며, 유머, 풍자, 기지를 담고 있다. 콩트 쓰기 위한 트레이닝 방법(쓰기 훈련)1. 모사연습: 기존 작품을 내 나름대로 수정하기인물설정은 두고 대사만 바꿔본다거나 다른 것을 가져온다거나 해본다. 2. 농담집: 자신이 어떤 농담을 재미있어하는지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농담집을 많이 읽는다.평소에 재미있는 이야기, 대사를 메모해 두자. ♤ 한 칸짜리 만화 ☞ 콩트의 전형적인 상황모델: 「상황설정」→ 「전개」 →  「결말」의 구조를 가지기 위해서 한 칸짜리 만화를 이용하자. ♤ 거짓말하는 정신 = 웃음을 만드는 정신: 웃.. 2024. 5. 27.
ok 대본쓰기_드라마 스토리, 대사, 에피소드, 주제 드라마 대본쓰기에 대해 오늘도 알아보기로 한다. 스토리, 대사, 에피소드, 주제 관련 내용을 담았다.  ▣ 드라마는 당신의 「주관」을  「영상화」라는 「객관」으로 반영시키는 작업계속 쓰는 것이 재능이다.쓰고 나서 후회하지 않는다.「냉정한 정열」과 「객관이 뒷받침된 주관」▣ 「사건」만 늘어놓으면 이야기의 흐름이 끊기지만  「행동」은 이야기의 흐름이 된다.  ▣ 이미지를 형용사가 아닌 행동으로 설명하는 훈련이 중요하다. 형용사를 사용하지 않고 설명하는 것, 그 설명을 「에피소드(사건)」가 아닌 「움직임(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 포인트다.  ▣ 「에피소드(사건)」는 연속적이지 않으나 「행동」은 다음의  「행동」을 불러낼 수 있다. ▣ 드라마는 「거짓말같은 진실」을 쓰는 것이 아니라 「진짜같은 거짓말」을 그리.. 2024.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