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트쓰는 법(쓰기 훈련 / 대사 / 대화의 기본)에 대해 알아보자.
드라마 작법 관련 글은 아니지만 대본작업에 참고해도 좋을 내용이라 올려본다.
콩트란 단편소설보다도 더 짧은 소설을 의미하며, 유머, 풍자, 기지를 담고 있다.
콩트 쓰기 위한 트레이닝 방법(쓰기 훈련)
1. 모사연습
: 기존 작품을 내 나름대로 수정하기
인물설정은 두고 대사만 바꿔본다거나 다른 것을 가져온다거나 해본다.
2. 농담집
: 자신이 어떤 농담을 재미있어하는지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농담집을 많이 읽는다.
평소에 재미있는 이야기, 대사를 메모해 두자.
♤ 한 칸짜리 만화 ☞ 콩트의 전형적인 상황모델
: 「상황설정」→ 「전개」 → 「결말」의 구조를 가지기 위해서 한 칸짜리 만화를 이용하자.
♤ 거짓말하는 정신 = 웃음을 만드는 정신
: 웃음을 만드는 정신을 기르려면 '제2의 감각'이 필요한데 거짓말을 해보자는 생각을 매일 자신에게 입력시킨다.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을 땐 유머집을 읽자.
♤ 콩트적 반응
: 자연반응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어떻게 도망갈 것인가가 기본선
♤플롯적 사고
: 어떤 일상적 상황과 식탁에 시체가 놓여있는 비일상적 상황을 동시진행시키는 것
♤ 플롯
: 원인과 결과의 인과관계가 성립될 것
♤ 뛰어난 희곡작품은 「전쟁터」와 「피크닉」의 이중구조로 이뤄진다.
이 이중구조가 하나가 되어 하나의 연극상황을 만들어낸다.
♤이차원 진행은 콩트를 쓰는데 가장 중요하다.
한 사람이 가만히 있어 일상성을 유지하고 있고 다른 한 사람이 가만히 있어서 비일상성을 가지고 있으면 안 된다. 양쪽 다 움직여서 이차원적 요소를 만들어야 한다.
콩트의 대사
- 움직임이다.
- 적확하다.
- 간결하다.
- 가벼워야 한다.
- 리드미컬해야 한다.
- 발전적이어야 한다.
☞ 이원대립을 피하자. 대화의 평행이동은 삼가자. 반증법적 발전형으로 정(正) 반(反) 합(合)의 나선적 상승
대화의 기본
♤ 보케(ボケ): 일본 만담,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멍청한 말, 엉뚱한 말을 하는 것>
츳코미(ツッコミ): <보케를 지적하는 것, 보케에 태클걸기, 핀잔주기>
♤ 보케(ボケ)와 츳코미(ツッコミ)가 기본이나 최근에는 보케(ボケ) 가 아호(アホ: 바보)가 아니라 약간 비판성이 섞인 광기인 경우가 있다. 보케(ボケ)와 보케(ボケ)인 경우 둘 다 광기로 비판은 관객이 한다.
♤블랙유머적 상황설정, 그것을 깨는 정도의, 생활감각 내의 리얼리티 있는 대화라면 보케(ボケ)든 츳코미(ツッコミ)든 관계없이 하나의 콩트가 된다.
♤ 예를 들면 밀레의 「만종」속 인물에게 대사를 부여, 이야기를 꾸며본다. 단, 풍경에서 느껴지는 대사가 아니라 있을 수 없는 일인데 풍경에 자극적이 될만한 느낌을 부여하며 쓴다. 풍경을 더욱 돋보이고 자극적으로 만들 수 있는 대사를 쓰는 게 중요하다.
♤ 다양한 희곡을 읽고 마음에 드는 부분을 직접 써본다. 꼭 써야 한다. 단지 읽기만 해서는 안된다. 읽는 것만으로는 체화(體化)시킬 수 없다. 외국작가의 작품이 좋다. 자기 나라 작가의 작품이면 너무 따라 하게 된다. 작가도 한두 명선에서 써본다.
♤ 「무대 중앙에 시체 한구」 또는 「무대 중앙에 폭탄이 하나」라는 설정으로 콩트를 써보자. 「지갑」 「구두 한짝」이라는 설정도 나쁘지 않으나 초보자의 경우, 이질감이 약해서 반응이 일상적이어진다.
'☆드라마 & 시나리오 작가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스터리물 쓰는 법 ② I 미스터리 작법_체크포인트(등장인물, 상황 설정, 플롯) (0) | 2024.07.17 |
---|---|
미스터리물 쓰는 법 ① I 미스터리 쓰기 법칙, 종류, 체크포인트, 스토리 구성법 (0) | 2024.06.27 |
대본쓰기_드라마 스토리, 대사, 에피소드, 주제 (0) | 2024.05.17 |
드라마 대본 체크포인트(대사, 캐릭터) (5) | 2024.03.04 |
드라마작가되기|대본쓰기전 유의할 점 & 대본쓴후 검토사항 (1) | 202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