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놉시스(Synopsis)
: 작가가 방송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자신의 작품에 관한 복안을 처음으로 세세히 밝혀 전해주는 구체적 설계도
- 한눈에 쓰고자하는 작품의 의도가 무엇이고, 작가의 주관은 어떤 것이며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느냐 하는 분명하고도 확실한 선을 제시해야한다.
- 기본 원고 이전에 시놉시스가 담당자들을 만족시켜야하고 그들의 의욕을 충분히 끌어내게하는 작품제작의 가장 기초다.
- 자신이 삼고자하는 작품의 전체파악을 쉽고 분명하게 알리는 것이 1차적 관건이다.
- 전체의 계략을 확실하게 내놓고 주장하는 것이다.
1. 주제
전체 작품이 전하고 있는 메시지를 한마디로 축소화시킨 한줄의 단행문장이다.
2. 기획의도
- 방송국측이 이 드라마를 왜 해야하는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어떤 이들과 영향력이 있는지를 작가가 설득하는 대목
- 작가가 어째서 이 글을 택했으며 쓰게 되었고 어떤 의의를 두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 작가자신의 의연한 인생관과 독특한 철학을 되도록 뚜렷하게 나타내는 신이 필요하다.
- 자신의 지적 능력을 소개 ☞ 드라마는 쉽게, 시놉시스는 지적으로 교양있게 써야한다.
3. 등장인물
- 드라마에 배치된 역할과 성격을 나이와 함께 간략하게 설명한다.
- 내용을 읽기에 앞서 미리 알려져야만 여러가지 상황을 빠르고 쉽게 파악할수있다. 때문에 줄거리앞에 소개하는 것이 원칙이다. (주인공의 나이, 직업, 캐릭터 - 조연 - 단역 순)
4. 줄거리
- '갈등'과 '사건' 그리고 주제가 선명하게 드러나야한다.
- 흥미있는 문장력과 기승전결의 법칙에 의한 구체적 사건이 명시되어야하고 클라이맥스와 구성이 한눈에 드러나야한다.
- 이야기(사건)와 구성(배열)과 주제, 클라이맥스를 확연히 하면서 정리한다.
<줄거리>
Who(누가)
When(언제)
Where(어디)
What(무엇을)
Why(왜)
- 인물 - 누가 - 주체, 성격
- 사건 - 무엇을, 어떻게 - 행위
- 배경 - 언제, 어디서 - 환경
ex) ①왕은 죽었다. 그리고 왕비가 죽었다 (스토리)
②왕은 죽었다. 슬픈 나머지 왕비도 죽었다. (플롯)
☞ 인물이나 사건의 단순한 계속이 아니라 그 인물이나 사건이 저마다 적절하게 유기적인 '연결'을 유지하고 있어야한다.
※ 시놉시스는 의문형으로 나가면 뒤가 궁금해진다.
◈ Scene(장면)
⊙ 목적: 이야기를 진행
① 시각적으로 뭔가 일어나는 것
② 한사람의 독백이나 여러사람의 대화
대사: 연기자의 말
지문: 장면의 조합이나 동작
(장면: 장소 / 기호: 촬영기법)
S → 장소, 시간
D → 낮
N → 밤
E → 효과음
F → 전화소리(전화내용)
1. 지문
- 짧고 간략하고 핵심
- 인물의 움직임은 물론 그 인물의 감정과 주변환경까지를 설명하는 중요한 표현기술
- 행동과 감정을 설명
2. 대사
⑴ 대사는 살아있는 감정을 갖고 있다.
⑵ 대사는 사실과 시간을 알리고 있다.
⑶ 대사는 내용진행의 운반권을 갖고 있다.
① 대사는 그 말을 소화하고 등장인물이 맞아야한다.
② 생활과 직업과 교양과 아울러서 다음은 연령을 생각해야한다.
③ 등장하는 인물의 개성과 인격적 특성을 맞추어야한다. 그 인물만이 할수있는 언어, 그가 생각하는 특수성, 심리적 환경을 고려해야한다.
④ 그 시대를 대변하거나 회자시키는 말, 유행어나 은어에도 민감해야한다.
⑤ 스토리의 진행방향으로 대사가 나가야한다.
⑥ 방언, 사투리를 연구한다.
☆ 대사의 조건을 갖추려면 ☆
① 성격과 심리가 나타나야한다.
② 현장감있어야한다.
③ 리얼리티가 있어야한다. 삶의 현장에서 묻어나오는 땀내음이 배어있는 절박한 대사가 호소력을 발휘한다.
④ 함축미가 있어야한다.
⑤ 일정한 질서(목적)아래 다듬고 정리하여 배열되는 정제된 언어들임을 알아야한다. 압축된 단어들속에 심오한 뜻을 담고있는 대사, 평범한 말속에 인생의 진실이 담겨있는 대사, 곱씹어볼수록 감칠맛이 느껴지는 대사가 좋은 대사다.
⑥ 힘이 있어야한다.
⑦ 정서가 있어야한다.
▩ 숨기는 진실 : 감정이 말투에 투사되어있다. (아빠를 그리워하나 죽었다고 얘기함)
▩ 숨기는 대사 : 반대되는 대사 (자기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않음)
▩ 셔레이드(Charade) : 말없는 제스처로 나타내는 상대방의 뜻을 알아맞히는 것.
※ 단막극에 명대사 하나는 있어야한다!
※ 중얼대보고 대사가 입에 붙나 확인해야한다.
※ 대사를 연구하려면 책을 많이 읽어야한다.
병원, 법원, 시장을 찾아보고 공연도 많이 즐겨야한다.
☞ 열려있는 시각, 경험에 갇힌 드라마 작가가 되지말자.
3. 장면
⑴ 장면처리
① 장면의 구체적인 묘사
② 장면과 장면을 연결시키는 문제, 즉 장면전환
⑵ 장면묘사
: 극적분위기 조성을 위한 정경묘사, 장면내에서 인물의 성격과 심리를 나타내기위한 묘사
① 정경묘사
S#1. 강의실안
ex) 강의를 듣고있는 학생들
앞줄에 앉아 현수 졸고있다.
강사, 현수를 보지만 모른척한다.
② 성격과 심리묘사
ex) 지연, 소파에 시체처럼 누워있다.
전화벨이 울리지만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않는다.
③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한 예시
④ 자막을 이용한 정경묘사
ex) 1개월후, 문자글자, 만화풍선
⑶ 장면전환
: 씬의 연결. 움직임과 변화를 생명으로 하는 영상예술은 무수한 장면들과 몽타주로 스토리를 이어간다. 스토리 전개에 따라 배열하고 씬과 신을 연결하는데는 몽타주기법을 숙지하지않으면 안된다.
① 시간배열
② 대사에 의한 연결
③ 소리에 의한 연결(구급차, 끼익- 자동차 소리)
④ 소도구에 의한 연결
⑤ 기호에 의한 연결
F.I(페이드인) : 화면 밝아짐
F.O(페이드아웃): 화면 어두워짐
F.I → F.O 전환씀
O.L(오버랩)
WIPE(와이프) : 윈도브러시처럼 화면 싹 지워짐
DISSOLVE(디졸브) : 점점 어두워짐(그 씬에서 마무리되는 느낌)
커트백 : 시간적으로 동시성을 가지고있는 각기 독립된 두가지 장면을 연속적으로 대비시켜 극적 갈등이나 서스펜스를 조성하는 수법
< 자주 쓰는 기호 >
1. N(내레이션) : 주인공, 인물의 심리상태
2. E(이펙트) : 화면밖 소리
ex) 휴대폰(E) → 벨소리
속마음(E)
3. F(전화목소리) : 전화를 통해 들리는 소리
4. 몽타주
5. Flashback(플래시백) : 전에 보여줬던 장면을 쓰고 싶을때
6. Insert(인서트) : 한 씬이나 시퀀스에 삽입하는 그림. 중간에 다른 그림 넣고 싶을때
ex) #1. 국회의사당
Insert #2. 국회의사당안 복도
7. 클로즈업(C.U)
8. Slow motion(슬로모션)
9. Mob scene(군중씬)
[드라마 작법] 드라마의 기승전결(시퀀스), 소재, 플롯짜기
TV드라마 제작과정 기획(작품기획) 기획안 작성(시놉시스) 작가 1차 원고 탈고 ~> PD와의 차별화된 사고가 필요 2차 원고작업 (2주 정도 기간) 배역 캐스팅, 헌팅 (PD가 할일) 작가 원고 탈고 배역 결
soffy1009.tistory.com
[드라마 대본 쓰는 법] 대본 이렇게 쓰지 마라!
드라마의 구조 ◈ 기(발단) 발단부가 잘못되면 뭐가 뭔지 모르는 드라마가 된다. < 발단부에서 해야할것 > ①테마암시 ②인물소개 ③상황설정(시대, 공간배경, 갈등구조) ④드라마의 방향 제시(
soffy1009.tistory.com
알아두면 쓸모있는 드라마(대본)쓰기 꿀팁 I
드라마의 조건 New Interesting Bright Simple + Story + Character + Information ☞ new 가 중요! ▷ 드라마 기획의 기본은 '방향'이다. 방향을 잘 잡아야한다. ▷ 드라마 기획에 있어서 타이밍이 중요하다. ▷ 정확
soffy1009.tistory.com
알아두면 쓸모있는 드라마(대본)쓰기 꿀팁 II
▷ 신문 한줄기사에서부터 왜 이런 사건이 일어났나 상상해보라. ☞ 생각을 파생시키는 훈련이 필요하다. ▷ 신문을 스크랩하다보면 드라마 소재가 생긴다. ▷ 대본을 완성해서 방송시켜야 진
soffy1009.tistory.com
'☆드라마 & 시나리오 작가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대본 쓰는 법] 대본 이렇게 쓰지 마라! (1) | 2023.10.05 |
---|---|
[드라마 쓰기] 발단-전개-클라이맥스-결말 & 각색 (0) | 2023.09.23 |
[드라마 쓰기] 드라마 캐릭터 만들기 (0) | 2023.07.05 |
[드라마 작법] 드라마의 기승전결(시퀀스), 소재, 플롯짜기 (1) | 2023.05.06 |
[드라마 쓰는 법] 드라마란 무엇인가? (0) | 2023.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