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 한줄기사에서부터 왜 이런 사건이 일어났나 상상해보라.
☞ 생각을 파생시키는 훈련이 필요하다.
▷ 신문을 스크랩하다보면 드라마 소재가 생긴다.
▷ 대본을 완성해서 방송시켜야 진정한 전투경험을 쌓는 것이다.
▷ 가상드라마일수록 선악이 분명하고 쉬워야한다.
현실과 연결되는 고리가 있어야한다.
▷ 퓨전, 판타지는 동화적인 요소가 필요하다.
▷ 드라마적 개연성('현실에 있을 법하다')가 중요하다.
▷ 개연성은 작가가 만들어내야한다.
캐릭터를 어떻게 만드냐에 따라 개연성이 판가름난다.
개연성을 갖도록 만들어주면 된다.
▷ 모든 것의 이면을 들여다 볼수있어야한다.
▷ 무거운 주제일수록 가볍게 풀어라.
☞ 시작은 편안하게 풀어야한다.
▷ 주인공을 조연처럼 쓰면 안된다.
주인공을 바보로 만들면 안된다.
그러면 드라마의 진정성이 떨어진다.
조연들이 웃겨야한다.
▷ 드라마는 남얘기같으면 안된다.
▷ 은원(恩怨:은혜와 원망)관계를 잘 풀어야 드라마가 된다.
▷ 인서트(Insert)의 용도
배경설명에 좋다.
이야기 전환에 좋다.
영상미를 보여줄수있다.
흐름끊는 단점이 있다.
▷ 풀샷, 롱샷 잘쓰는 사람이 좋은 카메라감독이다.
▷ 자살방법을 그리면 안된다.
▷ 역할바꾸기는 대척점에 있는 인물끼리 바뀌어야한다.
▷정면돌파의 정신이 필요하다.
▷ 연속극: 일상성, 스토리 의존적(대사로 푼다)
미니시리즈, 단막극: 비일상성
연속극은 점핑을 잘한다.
한 씬의 마지막에서 클로즈업을 보여준뒤
다음 장면에서 클로즈업한 상태로 다른 장면을 보여준다.
▷ 긴장감을 유발시키는 플롯이 필요하다.
▷ 드라마작가의 의도는
신속하게! 정확하게! 강하게!
▷ 시청자들이 보고싶어하는 것을 빨리 제시하라.
▷ 드라마의 깊이가 느껴지지않는건 제대로 부딪치지않기때문이다.
▷ 비현실적인 인물이라도 잘 만들어주면 살릴수있다.
▷ 동화적 전개와 현실적 전개를 얼마큼 조화롭게 섞어서 이야기를 풀것인가?
▷ 드라마틱한 삶을 인물로 보여줄지 환경으로 보여줄지 '설정'에 신경써야한다.
▷ 발상의 새로움, 접근의 새로움 이 필요하다.
▷ 장면전환의 노하우를 터득해야한다.
▷ 시간의 흐름을 정확히 잡아줘야하는 드라마가 아니면
'몇년후'같은 자막은 넣지말자.
▷ 시대물은 그 시대를 상징하는 것이 미술 부분에서 꼭 나와줘야한다.
▷ 취재를 하면 캐릭터 구축, 스토리 만들기, 에피소드가 생긴다.
▷ 인물의 캐릭터는 일관성이 있어야한다.
▷ 드라마는 캐릭터와 스토리의 싸움이다.
▷ 임팩트있는 씬이 있으면 드라마에 힘이 생긴다.
▷ 접근법에 따라 대본의 대안이 유용하거나 유용하지 않을수 있다.
▷ 매력적인 인물은 어떤 상황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달려있다.
▷ 기승전결부터 세워놓고 구성의 순서를 바꿔라.
▷ 드라마의 '시점'이 중요하다.
어디서 시작해서 이야기를 풀어갈까?
▷ 무리해보이는 설정은 버리지말고
당위성, 필연성을 부여하라.
▷ 드라마내에서 극적 호기심을 가지게만들고 충족시켜야한다.
☞ 기획단계
▷ 게임같은 상황이 재미있지 '게임'이다 라고 시작하면 재미없다.
▷ 드라마는 단순하게! 깊게! 파고 들어라.
▷ 주인공에게 감정이입시킨후에 엉뚱한 발상의 이야기를 풀어가라.
▷ '위기만들기'를 의식하며 대본을 써라.
▷ 한 인물이나 한 집단이 위기를 만드는게 집중도를 높인다.
▷ 대사
압축적이어야한다.
중의적인 의미도 내포해야한다.
▷ 앞에서 보여준 이야기를 또 대사로 쓰는(설명하는) 오류는 피해야한다.
▷ 4각 구도로 갔을때는 나머지 한명이 조금 존재감낮은 인물을 배치한다.
▷ 드라마가 올드한 느낌이 드는건 정형화된 캐릭터가 나오기때문.
'캐릭터'가 관건이다.
▷ 시트콤은 얼마나 빨리 캐릭터가 안정화되느냐에 달려있다.
▷ 시트콤 캐릭터는 말이 안되도 있을법한 캐릭터여도 된다.
▷ 기본을 바탕으로 거기서 파격을 이끌어내야한다.
☞ 극적 필연성과 당위성을 깔고 간다.
▷ 극적 긴장감 ☞ 치밀하고 단계적이어야.
▷ 시대가 주는 절박감을 잘 살려주어야한다.
▷ 드라마 초반에 탁 쳐주는 한방이 필요하다.
▷ 상식에 기반한 새로움이 중요하다.
▷ 가치있는 것 + 재미있는것 = 드라마
▷ 컨셉이 느껴지는 제목이 좋다.
구체적인 제목, 구체적인 컨셉이 중요.
▷ 인물들 사이의 관계가 중요하다.
알아두면 쓸모있는 드라마(대본)쓰기 꿀팁 I
드라마의 조건 New Interesting Bright Simple + Story + Character + Information ☞ new 가 중요! ▷ 드라마 기획의 기본은 '방향'이다. 방향을 잘 잡아야한다. ▷ 드라마 기획에 있어서 타이밍이 중요하다. ▷ 정확
soffy1009.tistory.com
[드라마 대본 쓰는 법] 대본 이렇게 쓰지 마라!
드라마의 구조 ◈ 기(발단) 발단부가 잘못되면 뭐가 뭔지 모르는 드라마가 된다. < 발단부에서 해야할것 > ①테마암시 ②인물소개 ③상황설정(시대, 공간배경, 갈등구조) ④드라마의 방향 제시(
soffy1009.tistory.com
[드라마대본 쓰기] 시놉시스 쓰는 법 (줄거리, 대사, 지문, 장면처리)
시놉시스(Synopsis) : 작가가 방송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자신의 작품에 관한 복안을 처음으로 세세히 밝혀 전해주는 구체적 설계도 한눈에 쓰고자하는 작품의 의도가 무엇이고, 작가의 주관은 어
soffy1009.tistory.com
'☆드라마 & 시나리오 작가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대본의 조건 & 드라마의 영상미학 (1) | 2023.12.11 |
---|---|
단막극 쓸때 체크포인트 _ 드라마쓰기 (2) | 2023.12.04 |
알아두면 쓸모있는 드라마(대본)쓰기 꿀팁 I (1) | 2023.11.15 |
[드라마 대본 쓰는 법] 대본 이렇게 쓰지 마라! (1) | 2023.10.05 |
[드라마 쓰기] 발단-전개-클라이맥스-결말 & 각색 (0) | 202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