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구성
⊙ 작가가 결말을 알고 써야 한다.
⊙ 주제는 한 줄로 요약되는 줄거리 또는 중심적인 내용
⊙ 테마에 가까운 것(대본 쓰게 된 동기)은 작의
☞ 작의: 인물, 성격, 행동
⊙ 3단 구성
도입 -- 중심(전개)[터닝(액팅포인트)] -- 결말
⊙ 터닝포인트는 억지로 맞춰 쓸려고 하면 안 된다.
주인공이 어떤 상황을 만나거나 만드는 부분.
메인스토리(플롯)만으로 터닝포인트를 이끌어낼 수 없다.
⊙ 서브플롯
서브플롯은 여러 개일 수도 있고 하나일 수도 있다.
서브플롯은 나름의 완결성을 가진다.
서브플롯과 에피소드는 구분되어야 한다.
에피소드는 한씬에 여러 가지 나올 수 있지만
전체이야기를 끌어가는데 보강되는 이야기는
서브플롯이다.
이야기를 극적으로 이끌어가는 방식으로
서브플롯이 있다.
서브플롯은 잘 써야 한다.
서브플롯에 자신이 없으면 에피소드로 채우고
메인스토리로 가라.
주인공이 중간에 바뀌거나 서브플롯이 강해
메인플롯이 죽는 경우를 조심해라.
드라마 캐릭터
⊙ 내러티브 - 이야기의 짜임새
내러티브: 자기가 가지고 있는 스토리를
말이 되게끔 만드는 것
⊙ 드라마틱 = 캐릭터 + 내러티브
⊙ 캐릭터의 특성만 가지고 글을 쓰면 내용이 뻔하다.
⊙ 캐릭터의 형상화가 중요하다.
내러티브에 맞는 캐릭터인가?
캐릭터 형상화에 가장 중요한 것은
인물의 욕망(직접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이
무엇인가를 찾는 것.
⊙ 캐릭터가 어떤 세계관을 가지고 있느냐가 중요하다.
⊙ 캐릭터에게 공감이 가게 하려면 이중성을 보여야 한다.
⊙ 캐릭터 구성요소: 심리적인 또는 신체적인 특성
⊙ 인물 사전 = 욕망 / 관(觀) / 특성
⊙ 캐릭터의 지점을 포착해서 쓰라.
자신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앞지점 → 극적전제
ex) 대학 3년생이라면 대2때의 이야기
실연당한 남자라면 사귈 때의 이야기(캐릭터)
⊙ 내러티브에 강한 작가는 사극을 잘 쓴다.
그러나 수명은 짧다.
⊙ 캐릭터의 독특함에 너무 집착하지 마라.
장르에 따라 캐릭터의 강약을 조절해야 된다.
⊙ 독특한 캐릭터에 의해 드라마가 살지 않는 경우가 있다.
⊙ 문제적인 상황을 만나는 캐릭터를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캐릭터가 분명하면 (시청자가) 동화되어 보기 쉽다.
드라마 쓸 때 참고사항
⊙ 이론에 얽매이지 않는 것이 좋다.
직관에 따르라.
⊙ 현재적인 관점을 생각하라.
(왜 쓰는가? 왜 만드는가?)
그러면 중심이 흔들리지 않는다.
⊙ 텍스트는 기억과 기대의 조합이다.
⊙ 자기(주인공)가 기대한 바와 결과가 맞아떨어지지 않는다.
거기서 오는 아이러니가 드라마다.
∴ 기대와 어긋나는 방식으로 결론이 난다.
⊙ 2~3개월에 1편 쓰는 사이클 이어야 한다.
소재, 아이디어 발굴 ⅓
아웃라인(시퀀스 구성) 만들어 숙성 ⅓
대본 작업 ⅓
⊙5개 이상 포트폴리오가 생기면
동시다발적으로 수정작업에 들어간다.
A, B, C, D 있으면
B와 D를 동시에 수정하라.
⊙ 옴니버스는 쓰기 어렵다.
이야기에 압축성, 통일성,
그리고 파격적임이 있어야 한다.
⊙ 자기가 가지고 있는 스토리를
어디에 주안점을 둬서
감동을 시킬 것인가를 많이 생각해야 한다.
(작품 쓸 때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할 것!)
드라마작가되기_대본쓰기전 유의할 점 & 대본쓴후 검토사항
[드라마대본 쓰기] 시놉시스 쓰는 법 (줄거리, 대사, 지문, 장면처리)시놉시스(Synopsis) : 작가가 방송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자신의 작품에 관한 복안을 처음으로 세세히 밝혀 전해주는 구체적 설
soffy1009.tistory.com
드라마 대본 체크포인트(대사, 캐릭터)
드라마 쓰기 과정소재주제(공감할 수 있는 주제, 쉬워야 한다)취재(보편적이어도 1%만 있으면 써도 된다)구상(덩어리로 구상) 드라마 쓸 때 체크포인트① 주인공은 누구인가② 어떤 이야기인가(
soffy1009.tistory.com
[드라마 대본 쓰는 법] 대본 이렇게 쓰지 마라!
드라마의 구조◈ 기(발단)발단부가 잘못되면 뭐가 뭔지 모르는 드라마가 된다. ①테마암시②인물소개③상황설정(시대, 공간배경, 갈등구조)④드라마의 방향 제시(주인공의 초목표)⑤위기설정
soffy1009.tistory.com
'☆드라마 & 시나리오 작가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대본 잘 쓰는 법(기승전결 & 캐릭터) (2) | 2024.01.20 |
---|---|
멜로 / 미스터리 / 전문성 드라마 기법 (0) | 2024.01.14 |
드라마의 디테일 & 제목짓기 & 상투성 피하는 법 (1) | 2023.12.20 |
좋은 대본의 조건 & 드라마의 영상미학 (1) | 2023.12.11 |
단막극 쓸때 체크포인트 _ 드라마쓰기 (2) | 2023.12.04 |